게시판3

명상 [冥想, meditation]

띨빡이 2009. 8. 26. 13:27

집중·사색·추상 등 여러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사적인 예배나 정신훈련

 

 

 

영적인 자각이나 신체의 평정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여겨진다.

명상은 고대부터 전세계적으로 여러 상황에서 시행되어왔다.

 

은둔 신비주의자의 경우처럼 순수하게 정적주의적(靜寂主義的)인 목적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수도원과 대다수 정신요법가의 경우처럼 정신이나 육체를 회복하고

일상생활을 풍요롭게 해주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전투를 앞둔 전사(戰士)나 연주회를 앞둔 음악가의 경우처럼 신체나

그밖의 힘이 드는 특별 활동을 준비하기 위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최근의 의학 및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명상요법은 치료에 임하기 전에

맥박과 호흡을 조절하는 데 효과가 있으며,

편두통·고혈압·혈우병 등의 증상을 억제하는 데 각기 정도는 다르나 효과가 있음이

숙달된 정신요법가들에게서 입증되어왔다.

 

 

대부분의 세계 대종교들은 특정 형태의 명상을 체계화해왔다.

힌두교의 '요가파는 육체·정신·영혼을 정결케 하기 위해 매우 정교한 과정을 규정해 놓았다.

 

'요가'의 한 측면인 '디아나'(산스크리트로 '집중명상'이라는 뜻)는 '선불교'(禪佛敎)의 초점이 되었다(→ 요가).

 

여러 종교는 효과적인 음절·단어, 혹은 본문(예를 들면 힌두교와 불교의 '진언', 이슬람교의 '지크르',

그리스도교의 '예수기도문')을 소리내거나 속으로 반복함으로써 영적인 정화를 얻으려 한다(→ 진언, 지크르, 예수기도문).

 

시각적인 형상(예를 들면 꽃, 먼 산)에 주의를 집중하는 것은 격식에 매이지 않은 공통된 사색 방법이며,

여러 종파는 이 방법을 공식화해왔다.

예를 들어 티베트의 금강승은 '만다라'(산스크리트로 '원'이라는 뜻)를 인간이 명상을 통해서 접할 수 있는

우주 세력들의 집합점으로 간주한다.

 

 

명상을 중시하는 여러 전통에서 묵주(默珠)와 전경기(轉經器 : 라마교에서 경문이 적힌 회전식 기도 기구) 같은 도구와 음악이

고도의 의식적(儀式的) 역할을 한다.

 

20세기 서양에서는 유물론의 가치관에서 깨어나 전통적이고

인간적인 동양철학과 의식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일어나기 시작하면서

비의(秘儀) 종교 전통(→ 초월명상)에 근거한 수많은 명상비법에 관한 가르침과

실천이 광범위하게 퍼졌다.→ 기도

 

 

                                        [다음 백과사전]

'게시판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도-네이버캐스트   (0) 2009.09.14
공룡의 나라-고성-네이버캐스트   (0) 2009.08.26
물의 고장 장수-네이버캐스트  (0) 2009.08.26
매미 (곤충) [cicada]  (0) 2009.08.26
만화가 신문수-네이버캐스트  (0) 2009.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