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불교

고운사

띨빡이 2009. 7. 29. 21:06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년)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부용반개형상(연꽃이 반쯤 핀 형국)의 천하명당에 위치한 이 사찰은 원래 高雲寺였다. 신라말 불교와 유교ㆍ도교에 모두 통달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ㆍ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후 그의 호인 孤雲을 빌어서 孤雲寺로 바뀌게 되었다.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지리사상의 시조로 받들어지는 도선국사가 가람을 크게 일으켜 세웠으며 그 당시 사찰의 규모가 五法堂十房舍(5동의 법당과 10개의 요사채)였다고 한다. 현존하는 약사전의 부처님(보물 제246호)과 나한전 앞의 삼층석탑(경북 문화재자료 제28호)은 도선국사께서 조성하신 것들이다.

 특히 고운사는 해동제일지장도량이라 불리는 지장보살영험성지이다. 옛부터 죽어서 저승에 가면 염라대왕이 고운사에 다녀왔느냐고 물었다고 하는데 지장보살님의 원만자비하신 풍모는 물론이거니와 명부십대왕의 상호와 복장도 다른 사찰에서는 보기 힘든 위엄과 정교함을 자랑한다.

  일제시대에는 조선불교 31총본산의 하나였고 지금은 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로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산재한 60여 대소사찰들을 관장하고 있다. 사세가 번창했을 당시에는 366간의 건물에 200여 대중이 상주했던 대도량이 해방이후 쇄락하여 많은 사찰재산이 망실되고 지금은 이십여명 대중이 상주하는 교구본사로는 작은 규모의 사찰로 전락하였다.

 하지만 10여년전부터 중창불사의 뜨거운 원력으로 주변을 정리하고 낡은 건물들을 수리 및 단청하여 지금은 위풍당당한 본산의 위상과 소박하고 절제된 수행지로서의 이미지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정도 규모 이상의 고찰로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입장료를 받지 않는 고운사는 민가로부터 3km 정도 떨어져 오염되지 않은 순수함을 자랑하며 일주문에 이르는 솔밭 사이 비포장길은 부처님께 진실된 마음으로 다소곳이 다가서는 불자들의 마음처럼 포근하고 정감넘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청정하고 엄격한 수행가풍을 자랑하는 고금당선원에서 정진하는 스님들을 비롯한 고운사의 모든 대중들은 위로는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불교의 참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새벽의 찬공기를 가르며 부처님전에 발원을 멈추지 않는다.

 

 

 


 고운사 창건주이신 의상대사는 신라시대의 승려로서 화엄종(華嚴宗)을 개창하였다. 644년(선덕여왕 13) 황복사(皇福寺)에서 승려가 되었으며 661년(문무왕 1) 해로(海路)로 당(唐)나라에 가서 지엄(智儼)의 문하에서 현수(賢首)와 더불어 화엄종을 연구하고 671년 귀국했다. 676년(문무왕 16) 왕명에 따라 부석사(浮石寺)를 짓고 화엄종을 강론, 해동(海東)화엄종의 창시자가 되었다. 전국에 10여 개의 화엄종 사찰을 건립, 화엄의 교종을 확립하는 일에 힘썼다. 그의 문하에서 오진(悟眞) ·지통(知通) ·표훈(表訓) ·진정(眞定) ·진장(眞藏) ·도융(道融) ·양원(良圓) ·상원(相源) ·능인(能仁) ·의적(義寂) 등 ‘의상십철(義湘十哲)’이라 일컫는 10대덕(大德)의 고승이 배출되었다.

고려 숙종으로부터 해동화엄시조 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라는 시호를 받았다. 저서에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勝法界圖)》 《백화도량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 《십문간법관(十門看法觀)》 《입법계품초기(入法界品記)》 《소아미타경의기(小阿彌陀經義記)》등이 있다.

 

 

조선 중기의 승려 ·승군장(僧軍將).
본관 : 완산(完山)
호 : 청허(淸虛) ·서산(西山)
별칭 : 자 현응(玄應) 아명 여신(汝信)
출생지 : 평남 안주(安州)
주요저서 : 《청허당집(淸虛堂集)》
주요작품 : 《선교석(禪敎釋)》 《선교결(禪敎訣)》 《삼가귀감(三家龜鑑)》

본관 완산(完山). 속성 최(崔). 자 현응(玄應). 호 청허(淸虛)·서산(西山). 아명 여신(汝信). 안주(安州) 출생. 1534년(중종 29) 진사시(進士試)에 낙방하자 지리산(智異山)에 입산, 숭인(崇仁) 문하에서 승려가 되어 《전등록(傳燈錄)》과 《화엄경(華嚴經)》 《법화경(法華經)》 등을 배웠다. 그 후 일선(一禪)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하였다.

1552년(명종 7) 승과(僧科)에 급제, 대선(大選)·중덕(中德)을 거쳐 교종판사(敎宗判事)·선종판사(禪宗判事)를 겸임했으며, 보우(普雨)를 이어 봉은사(奉恩寺) 주지가 되었다. 1556년 요승 무업(無業)의 무고로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에 연루되었다 하여 투옥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73세의 노구로 왕명에 따라 팔도십육종도총섭(八道十六宗都摠攝)이 되어 승병(僧兵) 1,500명을 모집, 명나라 군대와 합세,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웠다. 이 공로로 국일도대선사선교도총섭 부종수교보제등계존자(國一都大禪師禪敎都摠攝扶宗樹敎普濟登階尊者)가 되었으나 1594년 유정(惟政)에게 승병을 맡기고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서 여생을 보냈다.

좌선견성(坐禪見性)을 중시하고 교(敎)를 선(禪)의 한 과정으로 보아 선종(禪宗)에 교종(敎宗)을 일원화시켰다. 한편 유(儒) ·불(佛) ·도(道)는 궁극적으로 일치한다고 주장, 삼교통합론(三敎統合論)의 기원을 이루어 놓았다. 묘향산 안심사(安心寺), 금강산 유점사(楡岾寺)에 부도(浮圖)가 서고, 해남(海南) 표충사(表忠祠) 등에 배향되었다.

문집 《청허당집(淸虛堂集)》이 있고, 편저에 《선교석(禪敎釋)》 《선교결(禪敎訣)》 《운수단(雲水壇)》 《삼가귀감(三家龜鑑)》 《심법요(心法要)》 《설선의(說禪儀)》 등이 있다.

 

본관 : 풍천
호 : 사명당 ·송운 ·종봉
별칭 : 자 이환, 시호 자통홍제존자
활동분야 : 종교, 군사
출생지 : 경남 밀양
주요저서 : 《사명당대사집》,《분충서난록》

속성 임(任). 본관 풍천(川). 자 이환(離幻). 호 사명당(泗溟堂/四溟堂) ·송운(松雲) ·종봉(鍾峯). 시호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 유정은 법명. 경남 밀양(密陽) 출생. 어려서 조부 밑에서 공부를 하고 1556년(명종 11) 13세 때 황여헌(黃汝獻)에게 《맹자(孟子)》를 배우다가 황악산(黃岳山) 직지사(直指寺)의 신묵(信默)을 찾아 승려가 되었다. 1561년 승과(僧科)에 급제하고, 1575년(선조 8)에 봉은사(奉恩寺)의 주지로 초빙되었으나 사양하고 묘향산 휴정(休靜:西山大師)의 법을 이어받았다. 금강산 등 명산을 찾아다니며 도를 닦다가, 상동암(上東菴)에서 소나기를 맞고 떨어지는 낙화를 보고는 무상을 느껴 문도(門徒)들을 해산하고, 홀로 참선에 들어갔다.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사건에 관련된 혐의로 투옥되었으나 무죄석방되고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승병을 모집, 휴정의 휘하로 들어갔다. 이듬해 승군도총섭(僧軍都摠攝)이 되어 명(明)나라 군사와 협력, 평양을 수복하고 도원수 권율(權慄)과 의령(宜寧)에서 왜군을 격파, 전공을 세우고 당상관(堂上官)의 위계를 받았다. 1594년(선조 27) 명나라 총병(摠兵) 유정(劉綎)과 의논, 왜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진중을 3차례 방문, 화의 담판을 하면서 적정을 살폈다.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나라 장수 마귀(麻貴)와 함께 울산(蔚山)의 도산(島山)과 순천(順天) 예교(曳橋)에서 전공을 세우고 1602년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使)가 되었다. 1604년 국왕의 친서를 휴대하고, 일본에 건너가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를 만나 강화를 맺고 조선인 포로 3,500명을 인솔하여 귀국했다. 선조가 죽은 뒤 해인사(海印寺)에 머물다가 그 곳에서 죽었다. 초서를 잘 썼으며 밀양의 표충사(表忠祠), 묘향산의 수충사(酬忠祠)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사명당대사집》 《분충서난록》 등이 있다.

 

 

수월선사는 천수대비주(千手大悲呪)로 신통을 얻어 살아 생전 사리가 64과나 나오신 대도인이시다. 수월은 법호요 법명은 영민(永旻)으로 임제종의 32세손이요 태고 보우국사의 25세 손이다. 의성에서 출생하여 17세에 고운사에 입산하여 청파화상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송암화상으로부터 구족계를 받고 혜월화상의 법을 이어 받았다. 선사께서는 많은 이적을 남기셨는데 기록에 의하면 환란을 만나서는 하늘이 돕고 짐승들도 수월선사의 발이나 어깨에 자연스레 앉았다 한다. 고운사 남암에서 십년을 대선사요 삼일운동 민족대표 33인의 한분인 용성스님도 선사의 지도를 받았다.
선사께서는 많은 이적을 남기셨는데 기록에 의하면 환란을 만나서는 하늘이 돕고 짐승들도 수월선사의 발이나 어깨에 자연스레 앉았다 한다. 수행하는 도중 아홉차례에 걸쳐 양눈과 잇몸에서 사리가 64과나 나와 모든 대중들이 공경하기를 하늘처럼 하였다. 많은 제자들에게 법을 전하였으며 특히 삼일운동 민족대표 33인의 한분이자 근세의 대선지식으로 이름높은 용성대선사도 출가하여 수월선사에게 사사하였다. 1893년 겨울에 제자들에게 이르되 『운명하면 울지 말고 빈소를 차리지 말며 곧바로 화장하라』하시고 섣달 13일 사시(巳時) 정각에 가부좌를 하고 서쪽을 바라본 채로 입적하였다. 화장하는 날 겨울 날씨가 봄처럼 따뜻하여 선사의 높은 도력을 모두가 찬탄하였다. 제자 구연등이 영정을 서산대사 영당에 모셨다고 하나 현재 주석처인 군위 압곡사에 보관되어 있으며 고운사에는 행적비만이 남아 있다.

 


함홍선사는 순조을축(1805년)에 임제종의 37세 손인 송암화상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함홍은 법호이고 법명은 치능(致能이)다.스승의 권유로 삭발 전 사서삼경과 제자백가를 통달하고 구담화상으로부터 구족계를 받으셨다. 대강백 혼허화상과 팔봉선사의 법을 있고 고운사로 돌아와서 강당을 세우니 전국에서 승속을 불문하고 선사의 가르침을 받기 위해 학인들이 운집하였다.
근기에 따라 가르침을 펴시되 정성을 다하시니 열등한 자라도 끝내 재목을 이루었다. 조선에 석학으로 이름이 높아 사대부들로부터도 존경을 받으셨으며 그 당시 불교의 최고 지도자인 조선불교 선교양종(禪敎兩宗) 정사(正事)를 지내셨다.
말년에 만성재(晩成齋) 두어칸 집을 짓고 『이 방에 4년을 있으리라』하였는데 과연 그 때가 되자 병세를 보이셨다. 날이 저물자 제자들에게 일러 옷을 갈아 입히라 명하시고 일어섰다가 다시 앉혀 달라 명하시더니 바로 좌탈입망에 드셨다. 이 때가 1878년 겨울이었다. 오늘 날 고운사 입구에 선사의 행적비가 있으며 법당에 그 영정이 모셔져 있다.    

 

 

                                           [사이트 펌]

 

'(1)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발심수행] 사경수행 강경애 보살<상>  (0) 2009.08.04
마음의 거울 - 이영기   (0) 2009.08.04
봉암사   (0) 2009.07.29
반야심경-구하나  (0) 2009.07.29
무위사   (0) 2009.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