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신약성서

띨빡이 2009. 4. 19. 14:05

신약성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약성서(新約聖書) 또는 신약성경(新約聖經)은 예수의 말과 가르침을 그의 따르던 제자들(대부분은 사도 파울루스와 그와 관련된 사람이 기록함)의 손으로 기록되고 전해 내려온 기독교의 모체를 이루는 경전 중 하나이다.

목차

[보이기]
//

 신약성서의 형태와 성립 과정

신약성서는 4 복음서와 사도들의 활동을 적은 사도행전을 비롯하여 바울 및 다른 사도들이 여러 도시에 퍼져 예수를 믿는 작은 집단에 보낸 편지와 그리고 종말에 대한 사도 요한의 예언서인 묵시록을 한데 모아 놓은 것이다. 신약성서의 글들은 당시의 예수를 믿고 따르던 사도들과 기독교인들이 서로 지역에 따른 언어 소통의 불편을 덜기 위한 수단으로 고대 그리스어의 방언의 일종인 코이네(koine, 공동)로 쓰였다.

신약 성서의 형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로, 루카 복음서를 제외한 사복음서는 서술이다. 이 경우의 글들은, 예수의 행적을 기록함에 초점을 맞춘다. 둘째로. 이를 제외한 나머지 글은 편지글로서, 이는 예수 승천 혹은 사후 예수의 제자인 사도들, 즉 이스카리옷 유다를 제외한 열두 제자와 바울로(바울로도 사도로 인정한다), 기타 권위 있는 사람(유다서의 경우)이 교단 내에 문제가 있거나 예수나 복음에 대해 알릴 필요가 있을 때 쓴 편지들이다. 이 편지는 초대 교회 때 신앙을 올바로 전하는 글이라 하여 널리 읽혀지다가 서기 130년대(혹은 1800년대라고도 한다)를 전후하여 전세계의 신학자와 성직자들이 모여 오늘날의 성경이 이루어졌다. 수많은 문서와 편지 중에서 어떤 것을 성경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사도가 직접 기록하거나 혹은 사도와 직접 만난 사람이 기록한 문서.
  2. 성령/성신의 영감을 받아 쓰여진 문서.
  3. 다른 성서(성경) 내용과 모순되는 사항이 없을 것.
  4. 믿음과 직제가 통합된 보편교회(Catholic Church)에서 사용할 것.

비록 이 편찬 작업이 기독교 내부에서는 성령의 뜻에 의한 것이라고 하나 수많은 문서 중에 선정하여 어떤 것은 성서이다, 아니다 하는 기준을 정하였으므로 논란은 많았다. 그래서 현재 개신교의 성서와 로마 가톨릭의 성서는 차이가 많다. 대표적인 예가 외경이다. 외경은 로마 가톨릭에서는 성서로 인정하지만 개신교는 성령의 영감으로 기록되지 않았다면서 성서로 인정하지 않는 성서이다(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또 개신교 내부에서도 장 칼뱅, 루터 등의 사람들도 차이가 많았다. 일부 성서는 인정하지도 않기도 하였다. 초대 교회 때에는 구약성서의 하나님과 신약성서의 하나님은 다르다면서, 사복음서, 혹은 공관 복음서만 성서로 인정하거나, 바울 서신 외에는 성서로 인정하지 않은 마르키온주의도 있었다. 신약은 이러하지만 구약은 이른바 70인역이 기원 200년경 확립되었고, 전체적으로는 서기 60년대에 구약의 정경 목록이 제정되었다. 물론 여기에도 외경 문제가 있다. 정경과 외경을 제외한 다른 경전은 그 진실성이 의심스러운 경전들로 위경이라고 한다. 토마스의 편지/도마서나 베드로 복음서가 여기에 속한다. 대부분의 개신교 교단에서 이단으로 규정하는 교파나 종단중 일부는 성서외에 다른 계시를 믿기도 한다. 그 예로, 몰몬교몰몬경교리와 성약을 성서보다 더 중시하기도 한다.

  신약성서의 목록 (총 27권)

목록편집에 인용된 성서번역본은 천주교 성경(2005년, 한국천주교주교회의)/공동번역성서(1977년, 대한성서공회)/표준새번역(1998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4 복음서

 

 

 

 

 

 

 

 

 

 

  사도등의 활동

  바오로/바울(Paulus)의 서간

→성서학자들은 로마서,고린도전·후서,갈라디아서,빌립보서,데살로니가전·후서.디도서, 빌레몬서바울의 작품,골로새서,디모데전·후서.에베소서바울신학과 문체와 다르다는 점등을 근거로 바울의 제자들이 바울의 이름을 빌려서 쓴 위서로, 51년경 등장한 데살로니가전서는 첫번째 신약성서로 이해한다.

  발신자 미상의 서간

  야고보의 서간

  베드로의 서간

→성서학자들은 베드로전·후서를 베드로의 작품이 아니라,베드로의 이름을 빌려서 쓴 위서로 이해한다.

  요한의 서간

  • 23 요한의 첫째 서간/요한의 첫째 편지/요한일서(요일)
  • 24 요한의 둘째 서간/요한의 둘째 편지/요한이서(요이)
  • 25 요한의 셋째 서간/요한의 셋째 편지/요한삼서(요삼)

  유다의 서간

  묵시록

 로마 가톨릭(천주교)의 신약성경 분류

2005년 성경(한국 천주교 주교회의/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편집] 개신교의 신약성경 분류

개신교에서는 신약성경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천주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17일(3월28일) 성 스테파노 하딩 /복녀 카테리 테카크위타   (0) 2009.04.19
스테파노  (0) 2009.04.19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0) 2009.04.19
산 비탈레 성당  (0) 2009.04.19
아야 소피아  (0) 2009.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