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_로시스카야 페데라치야_Rusia
이반 대제의 종루 (The Bell Tower Of The Ivan The Great)_16세기의 건축으로, 모스크바 시 전체의 감시대와 신호탑으로 사용._크레믈린 정교회 사이에 있다_Ivan the Great Bell Tower, sandwiched between Kremlin cathedrals
1914년 부카라 대제에 의해 건립된 상트 페테르부르크의모스크(이슬람) 사원의 돔_St Petersburg Mosque was built in 1914 at the request of the Emir of Bukhara
발쇼이발레단과 미술관과 러시아 문화 정수들이 모여있는 모스크바 광장에 레닌과 혁명주의자 동상과 조각은 사라졌지만_ 칼막스의 조각상이 서있다_Karl Marx emerges from stone on Teatralnaya Square
평창과 동계올림픽을 경합해서 보기좋게 뺏아가버린_ 흑해 연안의 겨울 도시 소치에 구소련 스타일의 전통 식당 카페테리아에서 식사하는 모습_An old-fashioned Soviet style cafeteria in Sochi, on the coast of the Black Sea
모스크바의 가장 현대적인 명물중 하나인 굼 백화점_1890년에 지은 고색창연한 전통건물을 리뉴얼해서 러시아의 최고급 백화점으로 손꼽히고있다_ Shelves are stocked with luxury at Moscow's GUM department Store_
러시아가 자랑하는 열차가 지방라인인 옴스크역으로 들어오고있다_ 유럽전진기지 옴스크는 방위산업체의 집결지와 전차부대 사령부가 있는 곳이다_Faster than a speeding bullet: a local train pulls into Omsk station
발트해의 성스러운 땅에 아름다운 공동묘지에 서있는 교회_ 역사와 전통의 러시아의 성화와 엄숙미가 흐르는 아름다운 풍경사진이다._ In a pagan times all around Baltic Sea meaning of sacred place was more or less the same. It were sacred islands, holy groves, magic lakes and places like this. It was a place were main rituals of the tribe were performed, sacrifices made and so on. Standing stones or statues of gods were erected there.
러시아 연방 _러시아語_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로시스카야 페데라치야, 로씨야련방, 로련,또는 러시아(러시아어: Россия 로시야, 문화어: 로씨야. IPA통용: 노서아(露西亞))는_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공화국으로서, 아시아와 유럽에 걸쳐있다.
면적은 17,075,400 km² (6,595,600 km²)이다.
동쪽은 태평양, 서쪽은 노르웨이·핀란드·폴란드·에스토니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벨라루스, 남쪽은 그루지야·우크라이나·아제르바이잔·카자흐스탄· 중화인민공화국·몽골·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쪽은 북극해와 맞닿아 있다.
공용어는 러시아어이며, 수도는 모스크바이다.
러시아연방정부의 공식 홈페이지
러시아의 역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벨라루스의 원형인 중세의 루시 지역은, 862년에 노르만인 루리크가 노브고로드의 공이 되어, 그 일족이 동쪽 슬라브인의 거주지역에 지배를 펼쳐 가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고 연대기에 기록된다. 당초의 키예프 루시의 중심은,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수도인 키예프이며, 현재의 러시아의 중심인 북동 루시는 오히려 변경에 위치해 있었고, 모스크바도 아직 역사에는 등장하지 않았다.
지배층을 포함해서 슬라브화된 키예프 공국은 9세기에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문화를 수용해서, 독특한 문화가 생겼지만, 13세기초에 몽골에 의해서 정복되어 킵차크 한국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
키예프 루시의 변방에 지나지 않았던 모스크바 대공국은 몽골 지배 하에서 루시가 한에 납입하는 공납을 정리하는 역할을 맏았고, 나중에 점차 실력을 길러서 15세기에 킵차크 한국의 지배를 실질적으로 벗어나 루시의 통일을 추천했다. 모스크바 대공국은 이반 3세 때 차르의 칭호를 자칭했고, 러시아 제국으로 발전하였다.
러시아 제국은 19세기까지 시베리아로부터 동유럽에 이르는 대제국이 되어 유럽 열강의 일원이 되었다. 또, 해외 진출을 위해서 부동항을 얻기 위해서 남하정책을 추진하여 터키등 주변국들과 전쟁을 일으켰고, 영국과의 대립이 점점 심해졌다. 극동에서는 연해주를 청으로부터 획득하면서 블라디보스토크를 세우고, 시베리아 철도를 건설했다. 극동에서의 강경한 남하정책의 결과, 일본과의 전쟁(러일전쟁)이 일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중의 1917년에 일어난 러시아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는 무너졌다. 혁명 뒤에 내전에 승리한 블라디미르 레닌이 인솔하는 볼셰비키에 의해서, 1924년에 소비에트 연방이 건국되었다. 러시아 제국을 계승한 소련을 구성하는 15의 공화국 가운데, 러시아인이 다수파를 차지하는 대부분의 지역은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되었고, 이때 현재의 러시아 연방의 영역이 거의 획정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소련은 초강대국으로 성장하여 미국과 냉전을 펼쳤지만, 계획경제의 파탄등으로부터 점차공산주의의 모순을 드러냈다. 1980년대에 소련의 지도자가 된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냉전을 종결시키는 한편,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티를 내걸어서 소련을 발전시키기 위해 개혁에 임하지만 오히려 각지에서 민족주의가 분출하게 되었고, 1990년 6월 12일에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러시아 공화국을 선언했고 주권 선언했다.
1991년 12월 26일에 소련은 붕괴해 러시아는 구소련 구성국의 연합체인 독립국가연합(CIS) 가맹국의 하나가 되었다. 러시아는 구소련이 가지고 있던 국제적인 권리(상임이사국 등)와 국제법 상의 관계를 기본적으로 계승했고, 강대국으로의 영향력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국명은 1992년 5월, 러시아 연방 조약에 의해서 현재의 러시아 연방의 국명이 최종 확정되었다(러시아 연방의 국명 변경은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 사임의 당일인 1991년 12월 25일, 당시의 러시아 최고 회의 결의에 의했다).
1999년 12월 8일에 당시의 보리스 옐친 대통령과 벨라루스의 알략산드르 루카셴카 대통령과의 사이로, 장래의 양국의 정치·경제·군사등의 각 분야에서의 통합을 목표로 하는 러시아-벨라루스 연방 국가 창설 조약이 조인되었다. 2007년에 잠시 벨라루스와 에너지 분쟁을 겪었다. 2008년 3월에 총선이 있을 예정이다.
모스크바의 밤야경_Moscow by night on the Moskova
러시아의 국경일
1월 1일 Новый Год(노비 고트)
1월 7일 크리스마스 Рождество(로즈데스트보) 정교회의 크리스마스
1월 14일 구정월 Старый Новый(스타리 노비) год
2월 23일 조국 영웅의 날 День защитника отечества(덴 자시트니카 오테체스트바)
3월 8일 국제여성의 날 Международный женский день(메즈두나로드니 젠스키 덴)
5월 1일 노동의 날 Праздник весны и труда(프라즈드니크 베스니 이 트루다)
5월 9일 대독일 전승 기념일 День Победы(덴 포베디) 서방은 5월 8일을 기념한다.
6월 12일 헌법기념일 День независимости(덴 네자비시모스티) 현재의 러시아 헌법이 발표된 날
11월 4일 국민 단결의 날 День национального единства(덴 나치오날노고 예딘스트바)
11월 7일 러시아 주권 선언의 날 День согласия и примирения(덴 소글라시야 이 프리미레니야)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주권 선언한 날
아름다운 상트페테르부르크 항구는 유럽을 향한 해군함대의 사령부가 있다. 새로 진수한 군함 한척이 서있다.
Project 887 training ship of Russian Navy "Smolny".
Displacement: 7,270 tons full load
Dimensions: 138 x 17.2 x 5.53 meters
Propulsion: 2 diesels, 2 shafts, 16,000 bhp, 20 knots
Crew: 132 + 30 instructors + 300 cadets
Radar: Angara-M/Head Net-C 3-D air search
Sonar: Shelon hull mounted MF
EW: Watch Dog intercept
Armament: 2 dual 76.2mm/59cal DP, 2 dual 30 mm AA, 1 RBU-2500 ASW RL
“푸틴의 시대는 계속될 것이다.”
러시아 여당의 차기 대통령 후보가 공식 선출된 17일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렇게 보도했다. 이날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제1부총리가 통합러시아당 전당대회에서 대선 후보로 공식 지명됐지만, 관심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말에 쏠렸다. 푸틴은 “총리를 맡아 함께 일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혀 대통령 퇴임 뒤 권력구상의 일단을 드러냈다. 17년 동안 자신을 받들어온 충실한 ‘가신’ 메드베데프를 대통령 자리에 올려놓고, 실질적 권력은 총리인 푸틴이 행사하는 구도다.
2기 8년을 재임한 푸틴이 레임덕에 시달리기는커녕 자신의 각본대로 다음 권력구도도 짤 만큼 대중의 열광적 지지를 받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는 국민들이 갈망하는 “강한 러시아”의 상징 그 자체다. 옛 소련 붕괴 이후 혼란과 빚더미 속에서 서방의 웃음거리로 전락했던 러시아의 자존심을 되살렸다. 러시아는 국제무대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강대국의 지위를 확고하게 회복했다. 특히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가까이 치솟은 올해에는 부활한 러시아의 힘이 두드러졌다.
푸틴이 이끈 러시아는 지난 8년 동안 연평균 6.5% 이상의 경제성장을 달성했다. 올해 성장률은 7.3%까지 올라, 세계 5대 경제대국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러시아 경제는 질적인 면에서도 개선돼, 선진국 클럽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세계무역기구(WTO) 가입도 예약해둔 상태다. 1998년 국가부도의 치욕마저 겪었던 러시아의 외환보유고는 약 4500억달러로 세계 3위이며, 실업률은 5.7%로 떨어졌다.
경제력의 급격한 확대와 에너지를 무기로 한 ‘힘의 외교’는 국제무대에서 러시아의 발언권을 크게 높였다. 러시아는 동유럽 미사일방어(MD)체제, 이란 핵문제 등 주요 안보 현안에서 미국에 정면으로 맞섰다. 미국이 동유럽 엠디를 밀어붙이자, 푸틴은 핵전쟁까지 경고하면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와 유럽재래식무기감축협정(CFE) 이행 중단 등 실력행사도 서슴지 않았다. 유럽에는 천연가스 공급 중단을 위협하며 목줄을 흔들어대기도 했다.
푸틴은 “미국이 지배하는 단극체제는 파멸적”이라며, 러시아가 국제사회 중심축의 하나로 재부상했음을 분명히 했다. 얼마전 보도된, 웃통을 벗고 총을 든 근육질 푸틴의 사진은 러시아의 현주소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총리 푸틴’이 이끄는 강한 러시아는 2008년에도 세계의 이목을 끌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메드베데프는 17일 “푸틴이 자신의 강력한 정치적·전문적 능력과 영향력을 러시아와 국민들을 위해 계속 사용할 것으로 추호도 의심하지 않는다”며 푸틴에 대한 충성을 다짐했다. <가디언>은 “푸틴이 외교·국내 정책을 책임지고, 군사와 보안 문제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5월 물러나는 푸틴은 총리로 변신했다가, 메드베데프의 임기가 끝나는 2012년 대통령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경험이 부족하고 정치력이 떨어지는 메드베데프가 조기 퇴임할 공산도 있어, 그 시점이 훨씬 앞당겨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그렇지만 러시아 정국이 푸틴의 구상대로 순탄하게 흘러갈 것인지는 미지수다. 최고권력자의 자리에 오른 메드베데프가 마음이 바뀌어 그 과정에서 치열한 권력투쟁이 벌어질 가능성은 상존해 있다.
푸틴에 관한 상세정보_justinKIM
사람|러시아_ 블라디미르 푸틴_ 그는 누구일까?
...선거까지 대통령직을 대리할 사람으로 블라디미르 푸틴이라는 수수께끼에 싸인 인물을 지명했다. 푸틴은 옐친이 불과 5개월 전 총리로 발탁한 사람이었다. 푸틴은 해외 정보 계통에서...
황금종들의 도시 브라드미르의 성모마리아교회_This famous church Khram Pokrova Na Nerli (the Church of the Intercession of the Holy Virgin on the Nerl River) is located 13km from Vladimir at Bogolyubovo.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중앙정부의 각 연방 구성체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위해,
2000년 5월 13일에 전 국토를 7개로 나눈 연방관구를 설치했다.
중앙 연방관구(모스크바)
서북 연방관구(상트페테르부르크)
남부 연방관구(로스토프나도누)
프리볼시스키 연방관구(니즈니노브고로드)
우랄 연방관구(예카테린부르크)
시베리아 연방관구(크라스노야르스크)
극동 연방관구(하바롭스크)
눈내린 모스크바 도시의 변방_ 2월_ 을씨년스러운 모습의 개발과 겨울 냉기가 가득하다.
[*출처-별밤지기님*]
'러시아-여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르미타주미술관_Fondation de l'Hermitage (0) | 2009.04.19 |
---|---|
붉은광장 ( Red Square) (0) | 2009.04.19 |
러시아 사진여행_ 주요 8 개의 도시들 (0) | 2009.04.19 |
러시아의 심장_ 상트페테르부르크 여행 (0) | 2009.04.19 |
보드카 [vodka] (0) | 2009.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