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일:7월18일
성 리프니카의 시몬 사제
San Simone da Lipnica Sacerdote
(Lipnica, Polonia, 1435/1440 – Cracovia, Polonia, 18 luglio 1482)
St. Simon of Lipnicza
Born : c.1437 in Lipnica Murowana, Malopolskie, Poland
Died : 18 July 1482 in Kraków, Malopolskie, Poland during a plague epidemic
Beatified : 24 February 1685 (cultus confirm!!!ed) by Blessed Pope Innocent XI;
re-confirm!!!ed on 20 December 2005 by Pope Benedict XVI
Canonized : 3 June 2007 by Pope Benedict XVI at Saint Peter's Basilica, Rome, Italy

Den hellige Simon av Lipnicza (~1440-1482)
폴란드의 크라쿠프(Krakow)에서 멀지 않는 리프닉차 출신인 시몬은 그 도시의 대학교에서 공부한 뒤,
1453년에 성 요한 카피스트라노의 설교에 감명을 받고 그의 첫 제자가 되었다.
그래서 시몬은 프란치스코 회원이 되어 그의 스승과 함께 설교하면서 활동하였다.
성 시몬은 프란치스코회 설교자들이 큰 활약을 하던 시기의 주요 인물이었다.
또한 그는 성 베르나르디노와 함께 ‘예수 성명’ 신심을 보급하는데 주력하였다.
크라쿠프에 페스트가 유행하여 큰 재난을 당할 때 그는 정열적으로 활동하다가 자신도 병에 걸려 운명하였다.
그는 1685년 교황 인노켄티우스 11세(Innocentius XI)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다.
(가톨릭홈에서)
* 성 요한 카피스트라노 사제 축일:10월23일,게시판1434번.
* 시에나의 성 베르나르디노 사제 축일:5월20일, 게시판1772번.
* 예수 성명 축일:1월3일,게시판1550번.
교황, 사제 3명·수녀 1명 시성 |
|
조지 프레카·리프니카의 시몬·성 안드레아의 찰스 신부-예수의 마리아 유진 수녀조지 프레카·리프니카의 시몬·성 안드레아의 찰스 신부-예수의 마리아 유진 수녀 |
|

▲ 시계방향으로)
조지 프레카 신부, 리프니카의 시몬 신부, 예수의 마리아 유진 수녀, 성 안드레아의 찰스 신부
| 【바티칸 외신종합】교황 베네딕토 16세는 6월 3일 성 베드로 광장에서 3명의 사제와 1명의 수녀 등 4명에 대한 시성식을 거행하고 모든 신자들이 이들 새로 탄생한 성인들처럼 찬미의 노래를 성삼위께 불러드리라고 권고했다.
교황은 오전부터 쏟아진 비속에서도 수만 명의 순례자들이 자리를 지키며 예식을 지켜보는 가운데 거행된 이날 시성식에서 조지 프레카, 리프니카의 시몬, 성 안드레아의 찰스 신부 등 3명의 사제와 예수의 마리아 유진 수녀를 성인으로 선포했다.
교황은 특히 시성식 강론을 통해 "하느님의 지혜는 전 우주를 통해 드러나지만, 그 가장 훌륭한 걸작은 바로 성인들과 그들의 삶"이라고 성인들의 거룩한 삶을 칭송했다.
이날 시성된 성인들 중 리프니카의 시몬 신부(1439~1482)는 폴란드 출신의 작은 형제회 사제이고 조지 프레카 신부(1880~1962)는 말타 출신의 수도회 창설자이다. 또 예수 수난회 소속의 찰스 신부(1821~1893)는 네덜란드에서 태어나 아일랜드에서 사목활동을 했다. 이와 함께 프랑스 출신의 마리아 유진 수녀(1817~1898)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 승천 수도회의 창설자이다. |
[가톨릭신문 2007.06.08] |
*성녀 예수의 마리아 유진 수녀 축일:3월10일,게시판1653번.
*리프니카의 성 시몬 사제 축일:7월18일,게시판1278번.


축일: 7월18일 성 브루노 주교 (세니) San Bruno di Segni Vescovo Solero, 1049 - Montecassino, 18 luglio 1123
삐에드몽의 귀족 가문 태생으로 솔레로에서 출생한 브누로는 볼로냐에서 수학하였고, 로마 회의에서 베렌가리오를 상대로 하여 성체성사에 관한 교회의 교리를 옹호하였다.
그는 1080년에 세니의 주교로 임명되었으며, 또한 뛰어난 성서학자이던 그는 성직매매와 평신도 서임권을 반박하고, 성 그레고리오와 더불어 교회 개혁을 추진하였으며, 헨리 4세 황제의 추종자인 아이눌프 백작의 적의를 분쇄하였다.
1095년, 그는 자신의 주교좌를 사임하고 몬떼 까시노의 수도자가 되었으나, 세니 교구민들의 반대로, 어쩔 수 없이 그의 사임을 철회하였으나, 몬떼 까시노에 그대로 생활하였다. 1183년에 시성되었다.
완전한 사람은 없다. 성인이라 해도 마찬가지다. 당대 최고의 성서 학자였던 성 브루노도 실수를 한 적이 있다.
그는 교회의 물건을 사고 파는 것도 ’성물 매매죄’에 해당되며 그 죄를 지은 사제는 미사를 집전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교회의 물건(사무실)을 판 사제는 미사를 드릴 수도, 세례를 줄 수도 없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교회의 물건(사무실)을 판 행위는 잘못일 수 있지만 그렇다고 서품 자체가 무효가 되어 성사를 집행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실수는 말 그대로 실수일 뿐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 실수하고 싶은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누구나 가끔은 실수를 하게 마련이다. 한 번 실수했다고 해서 마치 이 세상이 끝난 것처럼 비관할 필요는 없다. 어쩔 수 없이 실수를 했을 때 그것을 바로잡을 수 있다면 바로 잡아 보려고 최대한 노력해야겠지만, 이미 엎질러진 물이라면 단순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최선이다.
자신을 꾸짖고 회한에 젖는다고 이미 저지른 실수를 돌이킬 수는 없다. 만약 실수를 저질렀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면, 잠깐 쉬면서 호흡을 가다듬어라. 그리고 당신 역시 실수를 저지를 수 있는 인간이라는 것을 기억하라. (꼰벤뚜알프란치스코회홈에서 www.ofmconv.or.kr)

*카르투시안 수도회 창설자 *성 브루노 사제 축일: 10월6일 (인창동성당게시판 679번) *성교회의 보석. 카르투시안 수도회: 인창동성당게시판 690번.
[명동성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