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현장에서] 마음의 평화 / 이지연 기자
띨빡이
2011. 7. 20. 01:31
얼마 전 극장에서 영화 ‘쿵푸팬더2’를 봤다.
주인공 포가 악당을 물리치는 액션 애니메이션이다.
영화 중 ‘마음의 평화’를 찾아야 한다는 사부 시푸의 가르침은 지금까지 기억에 남는다.
마음의 평화는 세계를 지키는 포에게만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도 꼭 필요하다.
하지만 일과 시간에 쫓기면서 마음의 평화는 이미 사라진지 오래다.
틈틈이 자기계발을 위해 시간을 활용하기 바쁘고,
틈틈이 자기계발을 위해 시간을 활용하기 바쁘고,
혼자 있을 때조차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을 가지고 무엇인가에 집중하곤 한다.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볼 여유가 현대인들에게는 없다.
그럴수록 영성에 대한 갈증이 깊어진다.
정신없이 앞으로만 달려가면서 느끼는 공허함을 신앙에서 찾고자 한다.
피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조용하고 아름다운 자연과 어우러져 묵상하고
하느님을 만나는 그 시간은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이 좋다.
하지만 다시 현실로 돌아오면 피정의 기억은 점차 잊히기 일쑤다.
최근 소셜네트워킹서비스를 통해 길거리 피정을 접했을 때 신선한 감동을 받았다.
최근 소셜네트워킹서비스를 통해 길거리 피정을 접했을 때 신선한 감동을 받았다.
생활 속에서도 피정을 할 수 있다는 발상이 주는 감동이었다.
일주일에 딱 한 시간, 말씀 안에 머무르며 개인의 삶과 신앙생활을 돌아본다.
장소와 시간은 중요하지 않다. 자신이 원하는 곳, 시간에 피정을 할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피정 묵상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한다는 점이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킹서비스에 묵상에 대한 글을 올려 지인은 물론
불특정 다수와도 피정 내용을 공유할 수 있다.
혼자 하지만 결코 혼자 하는 피정이 아닌 열린 피정의 형식이다.
지난 2일에는 한 달에 한 번 마련되는 ‘함께하는 길거리 피정’에 참여했다.
지난 2일에는 한 달에 한 번 마련되는 ‘함께하는 길거리 피정’에 참여했다.
후텁지근한 날씨에도 많은 이들이 모였다.
대부분이 20~30대의 비슷한 또래였다.
젊은 직장인들이 그만큼 영성에 목말라한다는 걸 의미하는 건 아닐까?
세상이 각박해질수록 많은 이들이 영성의 길을 찾고자 한다.
이제는 교회가 영성을 찾아 헤매는 길 잃은 어린 양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답을 해야 할 때다.
이지연 기자 (mary@catimes.kr)